[ch4] Review Questions

    • 2. data plane과 control plane의 기능과 차이
      • data plane: hw에 구현되어 있음 (nanoseconds), forwarding table를 사용해서 packet을 input port에서 output port로 이동, packet이 drop 거나 duplicate될 수 있음
      • control plane: sw에 구현되어 있음 (milliseconds), packet이 이동할 route 결정, forwarding table를 만듦
    • 3. forwarding & routing function의 차이
      • forwarding: local, per router function, forwarding table 사용
      • routing function: network-wide func, forwarding table 만듦
    • 5. Internet's network layer의 service model은?
      • best effort service. 네트워크 안 source와 destination host 사이의 end-to-end packet delivery를 정의
    • 6. router는 input port, output port, switching fabric, routing processor로 구성되어 있음.
      • hw: input port, output port, switching fabric
      • sw: routing processor
      • data plane: hw
      • control plane: sw
    • 7. 각 port에서 locally 하게 forwarding decision을 내릴 수 있음
    • 8. destination-based forwarding: destination IP 주소만 보고 forward. generalized forwarding은 헤더 필드 값 집합을 보고 forward
    • 9. longest prefix matching
    • 10.
      • memory
      • bus
      • crossbar
    • 11. fabric switching rate가 input port에 data가 들어오는 rate보다 느려면, input port의 queue에 쌓이게 되는데 꽉 차면 overflow가 생기고 packet loss 발생. fabric switching rate를 올려라
    • 12. no 그면 더 쌓이지
    • 13. input port queue의 데이터가 다른 queue 데이터의 처리를 막는 것. input port에서 일어남 Head-of-the-Line (HOL) blocking
    • 14. FIFO
    • 15. 다른 type의 데이터가 전달될 때. 실시간 영상 + 채팅 --> 영상이 더 중요함
    • 16. RR과 WFQ의 차이, 정확하게 같게 동작하는 경우?
      • RR: class별로 순회하면서 packet을 처리함. 모든 packet은 동등한 우선순위를 가짐
      • WFQ: class별로 순회하면서 packet을 처리하지만, 모든 packet이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음
        • WFQ에서 동등한 우선순위를 가지만 RR
    • 17. header의 protocol field에 어디로 보내야하는 지 적혀잇음
    • 18. TTL
    • 19. no
    • 20. final IP destination
    • 21. router의 interface 당 하나
    • 24. 8개 interface, 3개 forwarding table
    • 25. 40 bytes (header), 1/2
    • 26. 보통 wireless router는 DHCP server를 포함하고 있음. DHCP는 5대의 pc와 route interface에 IP addr를 할당함, NAT 사용
    • 27. route aggregation: 여러 route를 모아서 하나의 general route로 요약하는 방법. 계층적 방식으로 조직에 할당 할 수 있음. 네트워크에 액세스 하는데 사용되는 route 수를 줄이고, routing table 크기를 줄임
    • 28
      • plug and play or zeroconf
        • host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IP를 dynamic하게 얻어옴
        • dhcp를 통해 네트워크에 호스트를 구성하는 방법, 자동구성이므로 zero conf라고 함
    • 29. local network에서 사용하는 IP 주소. NO
    • 30. Ipv4 vs Ipv6
      • 차이점 Ipv6: no IP checksum, no fragmentation, fixed 40-byte header, priority, flow label, src/dst 128bit
      • 공통점: TTL(hop limit), next header(protocol), data, version, src/dst addr, 
    • 31. yes

    '학교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3] Review Questions  (0) 2022.06.20
    [ch5] Problem and Questions  (0) 2022.06.20
    [ch5] 2. routing protocols  (0) 2022.06.20
    [ch5] 1. Introduction  (0) 2022.06.19
    [ch4] 3. IP: Internet Protocol  (0) 2022.06.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