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Questions
5.1, 5.2, 5.3, 5.4, 5.6, 5.7
- 1. 라우터당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control plane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A. 각각의 라우터에서 routing algorithm이 실행됨. forwarding & routing 기능 모두 라우터 내에 제한됨. 각각의 라우터는 그 라우터에서 쓸 forwarding table를 계산하기 위해 다른 라우터의 routing component와 통신하는 routing componenet를 가짐.
- 2. logically centralized control를 기반으로 하는 control plane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A. logically central routing controller가 각각의 router에서 사용하는 forwarding table를 계산해서 분배함. 라우터에서 forwarding table를 계산하지 않음. data plane과 control plane이 다른 장치에서 구현되어 있음. control plane은 주로 remote server에서 구현되고, data plane은 router 내에서 구현됨
- 3. centralized, distributed routing algorithm의 특성을 비교하고 예시를 들어라
- centralized: link-state algorithm
- source와 모든 destination 사이의 최소비용 path를 계산한다. 모든 라우터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실제 계산은 한 곳에서 이루어져 각각의 router의 routing component에 복사될 수 있다.
- OSPF, IS-IS
- distributed: distance-vector algorithm
- iterative, distributed한 방식으로 최소비용 path를 계산한다. 모든 node에 대한 정보를 알 필요가 없다. 각 노드는 인접노드에 대한 정보로 시작하고, 인접 노드로 옮겨가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서 점차적으로 최소비용을 계산한다.
- RIP, BGP
- centralized: link-state algorithm
- 4. link-state and distance-vector routing algorithms을 비교해라
- memory
- ls: 네트워크 내의 모든 node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함, O(nE)
- dv: 인접한 node에 대한 정보만 알면됨
- 수렴 속도
- ls: O(n^2)
- oscillations가 있을 수 있음
- dv: 수렴하는데 오래 걸림
- routing loops <---- count-to-infinity problem
- ls: O(n^2)
- robustness
- ls: 정확하지 않은 link cost를 알릴 수 있음
- 라우터들이 각자 계산해서 사용하기 때문
- dv: 정확하지 않은 path cost를 알릴 수 있음
- 라우터들이 path를 계산하는데 다른 라우터의 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error가 발생하면 다른 네트워크로 번질 가능성이 있음
- ls: 정확하지 않은 link cost를 알릴 수 있음
- memory
- 5. count to infinity 문제?
- routing loop라고도 함
- dv는 인접 노드의 정보만을 가지고 있음. link cost가 안 좋게 바뀌면 연쇄적으로 노드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link cost가 바뀐 것을 모르는 node들이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path로 수정되는데 오래 걸릴 수 있음
- 6. 모든 AS가 같은 intra-AS routing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인가?
- no
- 7. inter-AS protocol이랑 intra-AS protocol은 왜 다름?
- Policy
- AS들 사이에 policy 문제가 존재함. 한 AS에서 생긴 traffic이 다른 AS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함. AS 내에서는 명목 상 같은 관리자 내에서 제어가 되고 있기 때문에 policy 이슈가 inter-AS보다 덜 중요함
- Scale
- 모든 AS에 대한 정보를 다 저장하기에는 cost가 셈. 대신 AS 내에 있는 요소들은 알 수 있음
- Policy
- 8. OSFP는 link state 정보를 인접 노드에게만 보낸다?
- F, router는 link state 정보를 AS 내의 모든 node에 broadcast함
- 10
- subnet: 큰 네트워크의 sub portion, router를 포함하지 않음
- prefix: CIDR address의 부분, router와 연관
- BGP route: TCP를 통해 BGP session이라 불리는 link로 BGP message를 보냄. BGP session 안에서 router와 연관
- 11. How does BGP use the NEXT-HOP attribute? How does it use the AS-PATH attribute?
- AS-PATH: looping advertisement를 감지하고 방지하기 위해 사용. 같은 prefix의 다양한 path들 사이에서 선택하는데 사용. 같은 prefix로의 다양한 path들 사이에서 하나를 선택할 때 사용
- NEXT-HOP: 첫번째 라우터의 IP addr를 지정하는데 사용
'학교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3] Review Questions (0) | 2022.06.20 |
---|---|
[ch4] Review Questions (0) | 2022.06.20 |
[ch5] 2. routing protocols (0) | 2022.06.20 |
[ch5] 1. Introduction (0) | 2022.06.19 |
[ch4] 3. IP: Internet Protocol (0) | 2022.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