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1] 2. network edge - end systems, access networks, link

    Access networks and physical media

    • Q. host를 edge router에 연결하는 방법?
      • 주거용 접속망
      • 기관용 접속망
      • 모바일 접속망 (3G, LTE, 5G) 등을 이용
    • 고려요소
      • access network의 bandwidth
        • bandwidth: 링크 용량
        • throughput: 실제 처리량
      • 공유 or 전용?

    Access network: digital subscriber line (DSL)

    • 전화선에 사용됨
      •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
        • 채널들: 주파수별로 나누어진 서로 다른 영역을 이용 
        • 하나의 링크를 통해 음성과 data를 동시에 전송 
          • 음성 → telephone net
          • 데이터 → internet
            • < 2.5 Mbps upstream transmission rate
            • < 24 Mbps downstream transmission rate
              • upstream rate $\neq$ downstream rate
              • 외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받는 양이 더 많기 때문에 비대칭적으로 나눔
      • dedicated line
        • 모든 집이 하나의 선을 가짐
        • 전화 회사의 DSLAM(DSL access Multiplexer)로부터 전용회선을 부여받음
          • DSLAM은 각 가정집과, ISP, 전화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있음
          • 가정집: splitter을 통해 전화와 DSL modem 분리


    Access network: cable network

    • Cable TV line에 사용
      • shared line
        • cable 네트워크는 가정집들을 ISP router에 연결
        • 가정집들은 cable headend로 향하는 access network를 공유
      • FDM
        • data와 TV가 한 링크에서 다른 주파수대역을 사용해 전송

     


    DSL vs. Cable: Speed

    이용자 수 1 many
    fast Cable DSL
    - 케이블은 한 집이 많이 쓰면 다른 집은 느려짐

    Access network: home network

    • cable or DSL modem
      • modem: 아날로그 신호 ↔ 디지털 신호
      • 서비스를 구독하면, 여기에 설치되고 인터넷 접근 가능해짐
    • router, firewall, NAT
      • router: 패킷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지정해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forwarding
      • firewall: 외부로부터의 공격을 막아주는 역할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or
        • Public IP ↔ Private IP
          • Public IP: 전세계 모든 사람들이 이용 가능
          • Private IP: 집 안에서만 유효한 IP
            • 집에 많은 장치가 있는데, 하나의 IP 주소만을 사용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음
            • 다른 집과 private IP가 같아도 상관 ㄴㄴ
    • wireless access point (WLAN)
      • wifi
      • 사용자 편의를 위해 wireless acess point, router/firewall/NAT, modem이 합쳐져서 나오기도 함
    • wired Ethernet
      • LAN cable 이용

    Enterprise access networks: Ethernet

    • 대학, 회사 등에서 많이 사용
      • transmission rate
        • 1Gbps: 가장 많이 사용
        • 10Gbps: backbone-rings
      • end system이 일반적으로 이더넷 스위치에 연결됨
        • 이더넷 스위치: 2계층
          • node-node
        • 라우터: 3계층
          • host-host


    Wireless access networks

    • shared wireless access network는 end system을 router에 연결함
      • "access point"를 통해
    • Wireless LANs
      • wifi: 802.11n/ac
    • wide-area wireless access
      • cellular operator
      • 3G, LTE, 5G

    왼쪽: wireless lan, 오른쪽: wide-area wireless access

    댓글